컨텐츠 바로가기

우리나라에는 몇대의 AH-64E 아파치 가디언을 있을까?

http://korearms.egloos.com/1294618

먼저 우리 육군의 항공작전 사령부 예하 제1항공여단에서 아파치 공격헬기 등을 운용하고 있다. 예하 부대인 제111항공대대는 AH-1F/S 약 75대를 보유하며 제502항공대대에서 MD-500 TOW Defender 경공격헬기 50여대를, 제901항공대대와 제902항공대대에서 각각 18대씩 36대의 AH-64E Guardian을 보유하고 있다,

그렇다면 공격헬기의 주축 세력인 주한미군은 어떻게 될까?

2017년 OH-58D Kiowa Warrior 정찰공격헬기가 퇴역한 후 미군은 AH-64E Apache 공격헬기를 현역 전투항공여단에 집중배치하며 2018년 이후 모든 현역 육군 전투항공여단은 重, Heavy 전투항공여단이 된다. 따라서 주한미군 2시단 예하의 2 전투항공여단에 이 기준에 맞춰 Camp Humphreys에 전력을 배치하고 있다. 그 내역은 다음과 같다.

1x 본부 및 본부중대 (HHC)
1x 공중기병정찰대대 (ACRS) (24대의 AH-64E Apache와 12대의 RQ-7 Shadow 무인정찰기)
1x 공격정찰대대 (ARB) (24대의 AH-64E Apache)
1x 강습헬기대대 (AHB) (30대의 UH-60M Black Hawk)
1x 일반지원항공대대 (GSAB) (8대의 UH-60M 지휘항공헬기, 12대의 CH-47F Chinook 중수송헬기, 12대의 HH-60M 및 ATS)
1x 무인공격기중대 (12대의 MQ-1C Grey eagle) - 중전투항공여단 개편에 따라 2사단에 도입되면서 군산공군기지에 배치. 그냥 한국에 배치된 것이 아니고 미군 항공여단 계획에 따라 배치된 것임. 북한 돼지 목따기 어쩌구는 전부 설레발임)
1x 항공지원대대 (ASB)

즉 항시 주한미군은 48대의 아파치를 보유하며, 간혹 순환배치되는 24대의 아파치가 있을 때도 있고 아닐 경우도 있는데, 현재 시점에서는 없는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유사시 한반도 전역에는 모두 84대의 아파치가 전장을 누비게 되는 것이다.



덧글|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