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우분투; 수동으로 Deb 꾸러미 설치.

http://nemonein.egloos.com/5294992

안드로이드에서 Apk 파일을 수동 설치하듯, 데비안 계열인 우분투에서도 Deb 꾸러미 수동 설치가 가능하다.
방법은 몇가지가 있는데, GUI 를 이용하는 방법도 있고, CLI(터미널)을 이용하는 방법도 있다.
참고로 먼저 말해두지만, 오랜 친구 apt-get 은 이 기능이 없다. 다만, 조력은 할 수 있다. (dpkg 항목 참고)

우분투 16.04 기준이고, 다음 글을 참고했다.
Ask Ubuntu: How do I install a .deb file via the command line?

1. '소프트웨어'를 통한 설치.(GUI)
기존에 '소프트웨어 센터'라고 불리던 설치 관리자(?)는 16.04 를 맞아 '소프트웨어'라고 이름을 바꿨다. 이름만 바뀐게 아니고, 소프트웨어와 소프트웨어 센터는 기능만 같고, 아예 다른 프로그램이다.
파일관리자(노틸러스)에서 Deb 파일을 더블클릭하면 이것이 실행되고, 해당 꾸러미를 설치할 수 있다.

의존성이 걸려있는 파일도 자동설치가 되고, 유니터 런처에도 자동으로 설치된 프로그램이 등록되는 등 편리한 점이 있지만, 전반적인 처리가 느리다는 단점이 있다.

2. GDebi(GUI)
예전 우분투에선 이걸 기본으로 썼었던 것도 같다. 내가 우분투를 처음 접했을 무렵이었던 것 같은데.. 기억이 가물가물.
최근 우분투에선 기본 설치가 되어 있지 않아서 일단 따로 설치를 해줘야 한다. 설치관리자를 쓰기 위해 먼저 설치를 해야 하는데, 이 '설치'를 위해서 또 여러가지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소프트웨어'를 통해서 할 수도 있겠고, Synaptic 을 통할 수도 있겠고, apt-get install, dpkg 등등..
여기선 apt-get 으로.
sudo apt-get install gdebi

사용법은 간단 명료. 파일관리자에서 Deb 파일을 오른딸깍하고 Gdebi 를 열어주면 된다.

3. dpkg -i(CLI)
데비안 계열 설치계에서 부모라 할 수 있는 dpkg. 다음과 같은 명령을 내리면 된다.
sudo dpkg -i 꾸러미이름

그런데 한가지 문제가 있다.
Deb 파일엔 의존하는 꾸러미들 이름이 포함되어 있어서, 다른 설치 관리자들로 설치를 할 땐 이런 것들을 자동으로 설치해준다.
그러나 dpkg -i 는 오로지 Deb 꾸러미에 있는 파일들만 설치해준다. 의존하는 파일들이 이미 시스템에 설치가 된 경우라면 아무 문제가 없지만, 그렇지 못할 경우, dpkg 는 의존성 문제가 생겼다는 안내를 해준다. 그렇다고해서 Deb 꾸러미가 설치되지 않는 것은 아니다. 현 꾸러미 설치는 하되, 의존성 걸린 다른 꾸러미들은 설치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만약 이런 상태라면, 실행에 필요한 파일들이 완전하게 설치되지 않았기 때문에, 프로그램 실행에 문제가 발생한다.

이렇게 의존성이 필요한 파일들을 자동으로 설치하려면, 친숙한 apt-get 이 필요하다.
sudo apt-get install -f
이 작업으로, 문제가 됐던 파일들이 자동 설치가 된다.
간단하게, dpkg -i 와 apt-get -f install 은 짝이라고 생각하면 되겠다. (위에 있는 Ask Ubuntu 에선, Maythux 라는 분이 이 둘을 합쳐놓은 스크립트를 만들라고하는 답을 남기기도 했다. 글쎄~ Reputation을 노린 게 아닐런지~ ㅎㅎ)

마지막 한가지.
dpkg -i 나 apt-get install 로 설치한뒤, 우분투 유니티 대쉬 검색을 해보면 안나올 때가 있다. 물론 로그아웃/로그인 하면 보이긴 하지만.
이건 버그라고 하는데.. unity-scope-loader 프로세서를 죽이면 바로 다시 프로세스가 재실행되면서 아이콘이 제대로 보이게 된다.

기타등등 좀 더 자세한 dpkg 선택항목이 맨 위에 연결한 'Ask Ubuntu' 페이지에 잘 나와있다. 우분투 생활 8년에 내가 외우고 있는 것은 오로지 -i 뿐.

덧글|덧글 쓰기|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