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고지도와 위성사진으로 보는 동래/부산진 위치

http://pjj321.egloos.com/10309826

 2008/12/03 21:00 by anaki-我行
1872년 지방도 중 동래부 일대
(클릭하면 커짐)

동래부성 위치는 임진왜란 때나 1872년 때나 큰 차이가 없는 것 같고...

지도에서 보이는 부산진은 임진왜란 이후에 옮겨진 곳이고 임진왜란 당시에는 개운진 위치에 있었던 것으로 추정됩니다.

원래의 부산진은 서쪽 開雲鎭이 들어선 곳에 있었다. 임진왜란 시 부산진을 함락한 왜적은 이곳에 주둔하면서 동편에 부산진의 支城을 축성하였는데 이것이 지도에서 보이는 부산진성이다. (1872년 지방도 부산진지도 해제 중에서...)

개운진 옆에 정발 장군을 모신 정공단도 표시되어 있습니다.
서평포진과 다대포진 역시 임진왜란 이후 하나로 통합되었다가 다시 분리되는 과정이 반복된 것 같지만... 임진왜란 당시에는 대략 저 정도 위치가 될 듯...
왼쪽 위에 제법 큰 규모의 금정산성은 임진왜란 당시에는 없었고 이후에 부산지역 수비 보강을 위해 증축된 산성으로...

금정산성은 지금의 부산광역시 금정구의 금정산에 위치하고 있다. 종9품의 別將이 관할하던 산성으로 1703년(숙종 29) 始築하고 이후 몇 차례 개축하였다. 성 주위가 60,908尺이나 되는 대규모의 산성으로서 해안에서 올라오는 적을 차단하는 중요한 關防이었다. 산성을 축조하자는 논의는 임란, 호란을 겪으면서 국방에 대한 관심이 고조될 때 여러 차례 대두되었으나 1701년 경상 감사 조태동의 청에 의해 비로소 축성하게 되었다.(1872년 지방도  금정산성진지도 해제 중에서)

그러니 임진왜란 관련해서는 뭐... 별로 언급할 이유가 없으므로 그냥 넘어갑니다.

중앙에 보이는 소산역은 동래성 전투 당시 밀양 부사 박홍과 동래성에 '도주'한 이각이 합류하여 진을 치고 있던 곳으로 현재 정확한 위치 고증은 안 되고 있는 상황입니다.(얼마전 관련 비석이 나왔다는 신문 기사를 보긴 했습니다만...)

좌수영도 몇 차례 이동이 있었는데...  

최초 동래의 부산포에 설치되었으나 이후 울산의 開雲浦로 이설하였다가 1592년(선조 25) 동래부 남촌으로 옮겼다. 또한 인조 때 戡蠻夷浦로 옮겼다가 1652년(효종 3)에 다시 이곳으로 이설하고 1670년(현종 11) 항구를 돌로 쌓아 재정비하였다.(1872년 지방도  경상좌수영영지도형 해제 중에서)

선조 25년이면 임진왜란 발발해인데... 개전 이후 줄곧 이 지역은 일본군 점령지였는데... 개전 직전에 옮긴 것인지 이후에 옮긴 것인지 확인이 안되는군요. 그리고 현재 위치와 얼마나 차이가 있는지도 확인 불가...ㅡㅡ;;;
책임방어지역은 낙동강 하구를 중심으로 동해쪽으로 대략 다대포에서부터 영해 축산포까지라고 하며 관할 포구는 12곳 정도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위 그림을 토대로 현재 위성 사진에 표시해 보면 대략 이 정도일 듯...

(클릭하면 커짐)

현재 부산지역에서 비정하면

부산진성 일대는 부산시 좌천동 정공단 근방 지역으로 보고 있습니다. 앞서 봤듯이 임진왜란 이후 부산진이 자리를 이동한 탓에 원래 부산진성에 대한 흔적은 현재 거의 없는 듯 하더군요.

Daum 백과사전 부산진성 설명

동래성은 현재 부산 동래구 복천동·안락동·명륜동·칠산동·명장동 일대입니다.
부산진성에 비해 비교적 흔적이 많이 남아 있는 셈이죠.
얼마전 발굴에서 조선 전기 무기류가 쏟아져 나왔고 동래성 전투 당시 희생된 것으로 추정되는 인골도 나왔죠.

Daum 백과사전 동래읍성 설명

소산역의 경우 정확한 위치를 아직 모르는데... 현재 부산시 선두구동 하정마을 일대로 비정하고 있습니다. 작년 초에 소산역 위치를 알려주는 비석이 발견되었다는 신문기사가 나와서 그나마 이 정도 위치를 비정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문헌 속 소산역, 정말 있었구나

경상좌수영은 현 부산 수영구 일대(뭐... 동네 이름 자체가 거기에서 유래한 것이니까요. 부산진구도 마찬가지이지만요)

Daum 백과사전 경상좌수영 설명

다대포진은 현 다대포 해수욕장 있는 곳이라고 하는데 고지도를 보면 산줄기 안 쪽으로 위치하고 있어서 현재 다대포 해수욕장과는 반대 위치라 확실하지 않군요.

덧) 사진과 그림만 보고 끼워 맞출려니 힘들군요...;;;
현재 부산 지명과 위치도 잘 몰라서 더욱 애매...ㅡㅡ;;;
대략 이 정도 위치구나... 뭐... 이렇게 생각하시기 바랍니다.

참고자료
실록 기록 인용 출처 - 조선왕조실록 홈페이지
위성사진은 <구글어스>, 고지도는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제공 <1872년 지방도>를 각각 편집한 것임
해당 자료의 저작권은 모두 해당 사이트 및 기관에 귀속됩니다.

덧글|신고